제이준코스메틱(025620)

 

최근 화장품 주식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지만, 중국의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중국 입국자수와 화장품 판매량이 회복세로 들어가고 있어 제이준은 지금 시점에서 공부하고 업데이트 해봐야할 종목이다.

 

업황

중국 화장품 시장은 최근 5년 연평균 12% 성장세 보이고 있다. 또한 중국 현지의 마스크팩 시장규모는 2014 4조원에서 2020 13조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매크로 변수

중국과의 정치적 이슈가 회사의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2017년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중국 소비자 급감이 20174분기 영업적자의 요인이기도 하다.

 

매출비중 및 수익성

- 지역별: 중국 90%(온라인 85%, 오프라인 15%), 국내 및 기타 10%

- 제품별: 마스크팩 92%(블랙물광마스크팩 24%, 인텐시브 샤이닝마스크팩 27%), 기능성 및 색조: 8%

 

사업별 현황 및 전망

Product mix 개선: 2분기 기점으로 마스크팩 비중 , 기능성, 색조 화장품 비중

기초 화장품인 썬스프레이와 아이 겔 패치 등 중국 수출 증가할 전망이다. 닥터 제이준 15종이 7월 출시를 앞두고 초기 주문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총 43개 라인업 (마스크팩 20, 색조 3, 기초 및 기능성 화장품 4)에서 7월에 기초 15, 색조 51종이 추가된다고 한다.

 

     

<출처: 제이준 홈페이지>

 

▣ 판매채널 확대 노력

제이준은 현재 알리바바(타오바오, 티몰) 중심의 온라인 입점 형태에서 웨이핀(VIP), 카올라, 쥐에이, 징동(JD) 등으로 온라인 입점을 확대했다. 한편 오프라인 판매채널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백화점, 왓슨스, 죠란자러언 등 15,000개 입점 했으나 2018년말까지 20,000개로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면세점과 일부 H&B스토어 매장에서 롯데마트(4), 이마트(5)로 판매채널을 확대했으며, 연내 홈쇼핑도 런칭할 준비를 하고 있다.


<관련기사>

http://www.jayjun.kr/default/customer/sub2.php?com_board_basic=read_form&com_board_idx=143&&com_board_search_code=&com_board_search_value1=&com_board_search_value2=&com_board_page=&


http://www.jayjun.kr/default/customer/sub2.php?com_board_basic=read_form&com_board_idx=144&&com_board_search_code=&com_board_search_value1=&com_board_search_value2=&com_board_page=&

 

▣ 인천 공장 가동 정상화

지난 20174분기에 신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 모든 회사가 그렇듯이 신공장 가동 초창기에는 생산 기계 아웃라인 배치나 수율 문제로 생산에 차질이 생긴다. 제이준도 이 기간 똑 같은 실수를 한것으로 파악된다. 4분기 숫자가 이를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2Q18부터는 저조했던 공장 생산력이 정상화 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관련기사>


 http://www.jayjun.kr/default/customer/sub2.php?com_board_basic=read_form&com_board_idx=140&&com_board_search_code=&com_board_search_value1=&com_board_search_value2=&com_board_page=&


경쟁력

제이준은 에프앤리퍼블릭을 통해 중국 판매를 하고 있다. 따라서 타 마스크업체들처럼 가격을 낮춰가며 물량 넘기기를 하지 않는다. 이에 제이준의 제품은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고 가격이 방어된다. 또한 제이준은 마스크팩 직접 생산이 가능해 마진률이 높다.

 

리스크 및 단점

제이준의 최대 단점은 단일 제품(마스크팩)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향 매출 비중도 높아 외부 이슈에 실적 변동성이 크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이 2Q18을 기점으로 보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되리어 투자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

현재 제이준의 2018년 컨센서스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258억원, 574억원이다.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유는 스테디셀러 제품이 2018년에도 판매 호조를 이어갈 것이며, 신제품(기능성 및 색조) 출시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중국향 매출이 정상화에 진입하고 있어 이는 달성하지 못할 숫자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한편 그동안 저평가 요인이었던 단일 제품의 지나친 의존도는 2Q18을 기점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향후 주가는 화장품 업종 평균값 정도는 적용 받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참고로 같은 업종내 종목들의 18(E) P/E는 다음과 같다

(아모레퍼시픽 35X, LG생건 33X, 한국콜홀 16X, 잇츠한불 24X, 에스디생명공학 11X, 제닉 17X, 리더스코스메틱 307X)



* 본 글은 외부의 부탁이나 부당한 압력과 간섭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자료내용은 종목 공부와 투자참고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주식대학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이 글을 바탕으로 한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주식대학 리서치센터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