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손익계산서 중 판관비부터 순이익까지 어떻게 산출되는지 알아보자. 판관비는 고정비용 성격이 강해 기업이 어떻게든 통제하려고 애쓰는 부분이다. 업황에 관계없이 영업이익을 최대치로 만들려는 노력을 하기 때문이다. 결국 경기와 업황에 크게 상관없이 기업 자체의 노력으로 수익성을 어떻게 극대화하는지 공부해 보는 것이다.


[판매비와관리비]

 

판배비와관리비 (이하 판관비)는 기업의 판매와 관리, 유지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통틀어 칭하는 용어이다. 결국 기업의 영업을 위한 비용이라고 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매출원가와 다른점은 매출원가가 매출액을 발생하기 위한 변동비용이라면 판관비는 기업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비용 성격이 강하다. 쉽게 설명하면 A식당의 종업원은 5명이라고 해보자. A식당은 장사가 잘 될 때도 5명에게 월급을 줘야하고 안 될 때도 마찬가지로 월급을 지불해야 한다. 매출액의 증감에 상관없이 지출되는 비용이 대부분인 것이다.

 

판관비는 인건비, 일반관리비 (교통비, 통신비, 소모품비, 감가상각비 등), 판매비 (접대비, 광고선전비 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모든 회계 계정을 살펴볼 수 없다. 대부분 기업들의 경우 판관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인건비이다. 그래서 부도덕한 기업들이 회사의 매출액이 역성장하는 경우에 우선 직원들을 해고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가장 쉽고 빠르게 수익성을 회복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인건비를 제외한 일반관리비와 판매비는 매출액에 대비해서 적정 수준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그 회사가 공장을 증설하거나 신제품 홍보에 비용을 지출했다면 감가상각비와 광고선전비, 수수료비용 등을 더욱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결국 판관비를 분석하는 핵심은 매출액 대비 고정비용이 어느정도 유지되고 있느냐이다. 인건비 외에도 수수료비용, 시장개척비, 접대비, 광고선전비 등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즉 판관비는 각 업종과 기업의 영업 형태상 주요 항목들의 매출액 대비 비중이 다르다. 현대차의 경우 인건비와 광고선전비 등의 비용이 많은 반면, 대우건설과 같은 건설업종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인건비와 대손충당금 비중이 클 가능성이 높다. 판관비의 증감은 영업이익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요 항목의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아래 예시를 통해서 판관비를 어떻게 분석하는지 살펴보자.

 

<4>

(단위: 백만원)

 

2013

2014

2015

매출액

11,848,708

11,909,749

11,544,831

매출원가

10,753,626

10,389,544

9,517,397

매출총이익

1,095,082

1,520,204

2,027,434

판매비와관리비

1,144,346

1,124,869

1,114,644

급여

274,514

269,893

289,195

퇴직급여

28,102

30,394

31,735

감가상각비

10,731

10,676

11,195

무형자산상각비

18,374

20,651

25,584

임차료

16,835

18,289

18,967

판매수수료

312,382

304,172

298,034

광고선전비및홍보비

96,204

105,910

105,245

복리후생비

63,761

56,318

63,313

교육연수비

7,122

7,020

8,499

통신비

46,617

40,783

24,124

제세공과금

20,558

17,985

21,414

시설물관리비

7,468

7,362

8,915

지급수수료

137,052

156,039

160,717

기타판매비와관리비

74,924

79,377

77,409

영업이익(손실)

-19,562

395,335

883,088

<출처: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4>은 대한항공의 실제 손익계산서이다. 대한항공의 판관비를 살펴보면 인건비 (급여+퇴직급여), 판매수수료, 광고선전비및홍보비, 지급수수료가 의미 있는 비용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한항공의 영업이익은 위 4개 비용의 증감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매출액이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하는 상황에서 해당 비용들이 축소되지 않는다면 수익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매출은 성장하고 있는데 위 비용이 매출액 증가분만큼 증가하지 않는다면 영업이익률은 개선될 여지가 높다.

 

그렇다면 우리는 해당 비용을 파악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를 고민해봐야 한다.

첫번째 방법은 위의 < 4>처럼 직접 만들어 보는 것이다. 인건비는 매출액의 2.5%, 판관비의 28.8%를 차지한다. 지급수수료 대부분이 외주용역 인건비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인건비의 비중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대한항공의 노선이 증편되어 인원이 늘어나게 되면 인건비는 증가하게 된다. 다만, 매출액 대비 비율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예전 비율을 적용하여 인건비를 예측해 볼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각 비용을 구하기 위해서는 결국 매출액 산정을 해야한다. 매출액 예측을 잘하기 위해서는 결국 업종에 대한 기초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또 다른 방법은 해당 기업 IR팀에 연락해서 물어보는 것이다. 가장 빠른 방법이다. IR담당자들도 발표되지 않은 정보를 먼저 공개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을 알려주지는 않겠지만, 전년대비 혹은 전분기 대비해서 상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문의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방법도 업종에 대한 이해도가 있어야 한다. 본인이 대체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도 업종 지식이 필요하고, 상대방의 대답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업종에 대한 기초지식이 있어야 한다.

 

참고

- 판매수수료: 대한항공이 여행사나 화물운송 업체에 지급하는 수수료

- 지급수수료: 외주용역 인건비 (공항내 데스크 직원 등)가 대부분, 기타 카드결제 수수료 등

 

 

<영업이익>

 

영업이익은 기업의 주된 영업 활동에서 생긴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관비를 차감하고 남은 금액을 말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살펴본 매출액과 영업활동을 위한 비용을 차감하면 영업이익이 산출되는 것이다. 즉 영업이익은 각 기업의 수익성 상태를 말해주는 회계항목이다.

 

영업이익률이 높다는 말은 곧 그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의미이다. 우리가 흔히 어느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라고 말하는 것은 그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확대될 거야라고 하는 것과 같은 말이다. 주식투자에서 영업이익은 매출액 다음으로 중요하다. 주가는 매출액 증가에 가장 먼저 반응해 상승한다. 그렇게 상승한 주가는 영업이익이 상승함에 따라 더욱 탄력을 받고 올라간다. 물론 테마주나 루머에 따라 움직이는 잡주들은 제외이다.

 

 

[영업외손익]

 

경제용어사전에 따르면 영업외손()/()익은 기업 본래의 영업활동 이외의 원천으로부터 발생한 손익을 말하는 것이다. 즉 영업외손()/()익은 매출액에 합산되지 않는 이익이나, 매출액 창출을 위해 사용되는 비용이 아닌 것을 말한다. 영업외손익에는 이자손익, 배당손익, 지분법평가손익, 외화환산손익 등으로 구성된다.

 

쉬운 이해를 위해 A식당의 예를 들어보자. A식당 사장은 매달 200만원씩 저금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이 예금에서 나오는 이자는 매출액이라고 할 수 있나? 결론은 할 수 없다. 은행에서 주는 이자는 A식당에서 제공하는 음식에서 발생한 수익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래 영업활동이 아닌 다른 이유로 발생한 이익을 영업외이익이라고 한다. 그럼 반대로 생각해보자. A식당 주인이 주방기구를 바꾸기 위해 은행에서 1천만원을 차입했다고 해보자. 그럼 A식당 사장은 매달 은행에 이자를 갚아야 한다. 이때 상환하는 이자금액을 영업외손실이라고 하는 것이다.

 

영업외손익 예측은 매우 어렵고 신경 쓸 것이 많다. Best Analyst들이 열심히 한다고 해도 잘 맞지 않는 부분이다. 기업의 자산과 부채, 자회사 영업현황, 환율의 등락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솔직히 나는 영업외손익을 예측하느라 많은 시간을 낭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우리는 기업의 부채가 많아지거나 자회사의 실적이 악화되면 영업외손실이 확대되겠구나라고 예상하면 된다. 또한 외화부채가 많은 기업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다면 영업외손실이 늘어날 거야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여기서 이 부분을 더 깊게 파고 든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회계를 포기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분석하고자 하는 기업의 영업외이익 혹은 손실이 매출액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파악해야 한다. 단순하다. 영업외손익이 매출액 대비 몇 %인지 평균적으로 구해보면 될 것이다. 따라서 영업외손익은 이 정도로만 설명하고 순이익으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만약 더 많은 내용을 알고 싶다면 질문 사항을 남겨주시기 바란다.

 

 

[순이익]

 

순이익은 손익계산서의 결론이다. 한 기업이 얼마만큼의 최종 수익을 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하고 영업외손익을 가감하면 순이익이 산출된다. 우리는 앞서 모든 내용을 살펴보았다. 결국 손익계산서는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flow를 먼저 이해해야만 분석과 예측이 가능하다.

 

순이익은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P/E 산정을 위해 필요하다. 우리가 아무리 좋은 주식에 투자한다 해도 지나치게 비싼 가격에 산다면 투자 수익성이 떨어진다. 이 부분은 Valuation 파트에서 다시 설명할 예정이다. 지금은 순이익이 적정 주가 산정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정도만 알아보자.

 

PER은 현재 주식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주당 순이익은 순이익을 그 회사의 주식수로 나눈 것을 말한다. 아래 <그림>에서 보다시피 순이익을 알아야 P/E를 구할 수 있다.


 

<PER 산출 과정>



* 본 글은 외부의 부탁이나 부당한 압력과 간섭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자료내용은 종목 공부와 투자참고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주식대학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이 글을 바탕으로 한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주식대학 리서치센터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주식을 잘하기 위해서는 회계라는 언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회계는 기업분석을 함에 있어 필수 조건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주식 투자를 할 때 재무제표 분석이라는 벽에 부딪혀 전문가가 아닌 일반 개미로 살아간다. 일반 개미들은 기업의 기본가치(Fundamental)은 외면하고 검증되지 않은 정보와 루머를 기초로 한 주식 투자를 한다. 이 순간부터 투자가 아닌 투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우리가 회계라는 언어를 유창하게 말한다는 것은 재무제표를 분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재무제표란 기업회계기준에서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 및 현금흐름표’, ‘주기 및 주석을 재무제표로 정하고 있다. 재무제표의 종류만 살펴봤을 뿐인데 벌써 지친다. 천만 다행인 것은 우리가 해외 여행을 할 때 그 나라말을 현지인처럼 유창하게 할 필요는 없듯이 재무제표도 의미를 파악할 정도만 볼 수 있다면 주식을 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주식 투자에는 손익계산서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 더욱더 다행인 것은 재무제표 중 손익계산서 분석이 가장 쉽다는 것이다. 손익계산서란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성과를 한눈에 나타내기 위한 재무제표이다.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다. 쉽게 비유를 하자면 자영업자가 장사를 하면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알기 쉽게 기록한 가계부이다.

 

손익계산서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매출액에서 출발해서 순이익까지 도착하는 경로를 이해하고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 1> 손익계산서 개요

정의

산출 방법 및 주요 체크 사항

매출액 (영업수익)

상품 또는 제품의 판매 수입

제품가격 * 판매량

(매출)원가

매출액을 올리는 데 필요한 비용

원재료 매입량*원재료 매입금액

매출총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

매출액 -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판매와 관리, 유지에서 발생하는 비용

매출액 대비 영업비용 수준 파악

영업이익

기업의 수익성

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

영업외손익

영업 이외의 활동으로 발생한 손익

매출액 대비 영업외손익 수준 파악

법인세

법인에게 부과하는 조세

법인세차감전이익*법인세율

당기순이익

기업의 최종 수익

영업이익 - 영업외손익 - 법인세

 

우선 이번 글에서는 매출액과 매출원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고, 다음 글에서 판관비부터 순이익이 어떻게 산출되는지 공부해 보자. 전체 손익계산서에서도 매출액과 매출원가에 대한 이해가 주식을 잘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이유는 산업과 기업에 대한 특성이 가장 크게 반영되는 항목이기 때문이다. 기업의 비용 내용중에서도 매출원가는 변동비에 속하기 때문에 매출액이 늘어나는 시기에 함께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각 기업들은 매출액이 증가하는 시기에 원가를 최대한 축소해야 영업이익이 확대시킬 수 있다. 만약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함께 증가하는 기업의 주식을 우리가 보유하고 있다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매출액]

 

회계·세무 용어사전에 따르면 매출액이란 상품 또는 제품의 판매 및 노역 제공에 의한 수입을 말한다. 여러분들이 식당(기업)을 가서 음식(상품 또는 제품)을 먹고 지불하는 음식비가 그 식당에게는 매출액이 되는 것이다. 결국 삼성전자와 애플과 같은 회사는 전자제품, 노트북, 핸드폰 등을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받는 돈이 바로 매출액인 것이다.

 

삼성전자가 2017년 한해 동안 냉장고, 노트북, 핸드폰을 아래의 < 2>과 같이 판매한다고 가정해 보자. 물론 그런 일은 없겠지만 말이다.

 

< 2>

사업부문

판매량 ()

판매가격 ()

냉장고

100

   5,000,000

노트북

100

   1,200,000

핸드폰

100

     800,000

 

 

삼성전자의 매출액을 구해보도록 하자.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각 제품들 (냉장고, 노트북, 핸드폰) 매출액 (판매량*가격)의 합이다. 자 그럼 각 제품들의 매출액을 계산해 보도록 하자. 1) 냉장고의 매출액은 5억원 (100 * 5백만원), 2) 노트북 매출액은 12천만원 (100*120만원), 3) 핸드폰 매출액은 8천만원 (100*80만원)이다. 따라서 각 제품들의 매출액을 합한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7억원이다. 결국 회계상 매출액은 삼성전자의 예를 살펴보았듯이 제품 판매량*판매가격이다. 물론 수주산업 (건설, 조선업 등)의 경우에는 매출액 구하는 방식이 조금 다르지만 대부분 업종의 매출액은 제품 판매량과 판매가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우리는 삼성전자의 매출이 성장하는데 꼭 필요한 요인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각 제품의 판매량 증가와 판매가격 상승이다. 따라서 각 제품의 업황(수요와 공급)을 분석할 수 있다면 삼성전자의 올해를 비롯해 향후 매출액이 증가할 것인지 혹은 감소할 것인지를 예측해 볼 수 있다. 핸드폰을 예로 들어보자. 핸드폰은 신형모델 출시와 교체주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1 ~ 2년을 주기로 핸드폰을 교체한다. 따라서 각 핸드폰 제조사는 매해 신제품을 출시(공급)하면서 수요를 확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소비자의 교체주기에 맞춰 신제품을 출시해야 판매량이 증가하고 판매가격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신제품이 기술적인 이상이나 부품 공급 부족 등의 문제로 신제품 판매가 둔화된다면 해당 사업부 매출액은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더 자세한 설명은 IT업종 분석에서 하도록 하겠다. 여기에서는 매출액은 판매량과 판매가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과 매출액 예측을 위해서 각 업종의 기초지식이 필요하다 정도만 기억해 두길 바란다.

 

매출액은 기업의 성장성을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어느 기업의 성장성이 좋다라고 말하는 것은 그 기업의 매출액이 증가할 거야라고 하는 것과 같은 말이다. 따라서 매출액은 주식투자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항목이다. 주가가 제일 먼저 매출액 증가에 가장 먼저 반응하기 때문이다.

 

 

[매출원가]

 

매출원가란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매출액을 올리는 데 필요한 비용을 말한다. 즉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료를 사는 비용을 말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A식당이 손님에게 판매하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소금, 고추장, 고기, 야채 등 모든 재료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이다. 매출원가에는 재료비, 제품을 생산하는 인원의 인건비 등 많은 하위 항목이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여행가서 영어를 native speaker처럼 유창하게 할 필요는 없다. 주식은 매출원가에서 제조원가 (제품을 생산하는 재료비)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매출원가 중 제조원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추가로 매출원가 내 다른 항목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질문해 주시기 바란다.

 

그럼 해당연도의 매출원가는 어떻게 구해지는지 살펴보자. 이 부분은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재고자산 평가와 영업이익률 예측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읽고 이해 정도만 해주길 바란다. 이번 연도의 매출원가는 기초재고액+당기순매입액-기말재고액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면 A식당이 지난해 사들였던 재료와 올해 사들인 재료를 더한 금액에서 올해 말에 남아있는 재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차감한 것이다. 이렇게 굳이 계산하는 이유는 재료를 구입할 때 매번 가격이 똑같지 않기 때문이다. 회계라는 언어는 숫자(금액)를 기반으로 한 언어이다. 따라서 정확한 원재료 매입 금액을 기재해야 하는 것이다.

 

포스코가 20171년동안 아래와 같이 원재료를 구입했다고 가정해 보자. 물론 아래 예시도 쉬운 이해를 위한 가상의 원재료비 현황이다

 

< 3>

사업부문

매입량 ()

매입액 ()

철광석

100

   5,000,000

석탄

100

   3,000,000

합금철

50

   2,000,000

니켈

30

   1,000,000

 

포스코는 고로를 가동하여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철강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3>과 같이 철광석, 석탄 등 원재료를 구입해야 한다. 그러면 포스코의 매출원가를 산출해보자. 매출원가 계산도 간단하다. 각 제품별 매입량*매입금액이다. 우선 각 제품별 제조원가를 살펴보면 철광석 5억원, 석탄 3억원, 합금철 1억원, 니켈 3천만원이다. 따라서 포스코의 2017년 매출원가는 93천만원이다. 물론 매출원가에는 예시처럼 원재료비와 공장 가동을 위한 인건비 및 기타 비용도 포함된다. 그러나 원재료비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은 대부분 고정 비용에 해당되기 때문에 영업이익을 최대한 간단히 예측하기 위해서 원재료비 산출 방법만 설명하였다.

 

우리는 매출원가를 공부하면서 각 원재료의 가격 현황을 파악하고 예측해야 그 기업의 수익성(영업이익)을 분석하고 전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기업들이 원재료 공급선을 유지하고 관리를 철저히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신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대기업의 횡포가 대부분 매출원가를 낮추기 위해서 하청업체에 가격인하(CR)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매출원가 가격 추이는 모든 업종에 중요하지만 특히 철강과 석유화학 등 소재산업에는 더욱더 중요하다. 원재료의 공급이 항상 원활하다는 보장이 없고, 최종제품의 수요가 언제 확대되고 축소될 지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즉 경기에 민감할 소재산업일수록 원재료와 판매 제품가격의 차이 (Price Spread)가 기업의 수익성 결정에 key point가 된다. 다행히 철강과 화학산업의 원재료의 가격은 뉴스나 각 증권사의 HTS로도 쉽게 알아볼 수 있으니 꾸준하게 가격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을 통해서 각 기업들의 분기/연간 주요 원재료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 본 글은 외부의 부탁이나 부당한 압력과 간섭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자료내용은 종목 공부와 투자참고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주식대학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이 글을 바탕으로 한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주식대학 리서치센터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 Recent posts